advertisement
스마트폰 앱에서 바로 보험금 청구
입소문 타고 청구건수도 증가 추세
당국·개발원 연계 병원 확대 분주
[아시아타임즈=정종진 기자] 병원에서 진단서 등 종이서류를 발급받을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에서 바로 실손의료보험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실손보험금 청구 간소화 서비스' 출시 후 한달 만에 가입자가 6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직까지 청구 전산화에 참여하지 않는 병원급 요양기관이 적은 만큼 해당 서비스가 궤도에 오르기 위해선 병원들의 참여를 보다 독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위원회와 보험개발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서비스 앱인 '실손24' 가입자 수는 지난 22일 기준 60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5일 서비스 출시 이후 가입자가 지속 유입되고 있는 것은 물론 입소문을 타면서 보험금 청구건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달 22일까지 보험금 청구가 완료된 건은 2만5000건으로, 1주차(10월 25~31일) 3134건, 2주차(11월 1일~7일) 5434건, 3주차(8~14일) 7168건, 4주차(15~22일) 1만316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중 보험금 직접 청구가 쉽지 않은 고령 부모·미성년 자녀를 대신해 청구한 '제3자 청구' 건수는 3000여건이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실손보험금 청구 간소화 서비스는 실제 아파서 병원에 가야 쓸 수 있다"며 "청구 건수의 많고 적음을 현재로서는 평가할 수 없고 가입자 수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서비스가 본격 시작됐지만 아직 병원들의 참여를 더 이끌어내야 하는 문제도 남아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행일인 10월 25일 기준 청구 전산화를 이용할 수 있는 병원은 210개로, 이후 39곳이 추가돼 이달 25일 기준 249개 병원에서 청구 전산화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전체 대상기관인 7725개 병원급 요양기관(병상 30개 이상 병원 4235곳·보건소 3490곳)의 약 3.2% 수준이다.
지난달까지 참여를 확정한 요양기관은 병원 733곳, 보건소 3천490곳으로 금융위원회와 개발원은 연내 1000개 이상의 병원 연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 10월 25일부터는 의원(7만개)과 약국(2만5000개)을 대상으로도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시행될 예정이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실손24 앱 소비자로부터 주변에 있는 병원 중 서비스가 필요한 병원 목록을 취합하고 있다"며 "이를 병원에 전달해서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유승열 경제부 ysy@asiatime.co.kr
입력 : 2024-11-26 16:45 수정: 2024-11-26 16:45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플랫폼 어렵다던데”…‘슈퍼앱’된 스타트업 모두 흑자 냈다
빅2 건설사, 新성장동력으로 '수소 사업' 낙점…"미래 먹거리 확보"
KDI, 넉 달 연속 하방 압력 ↑..."美 관세 등 대외 여건 급격히 악화"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