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삼성물산·현대건설, 수소 사업 본격화
2027년 글로벌 수소 시장 385조 규모
"초기 비용 막대…정부 정책과 발맞춰야"
[아시아타임즈=김미나 기자]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수소 에너지 사업을 새로운 돌파구로 삼고 있다.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 건설사들이 최근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관 변경을 통해 수소 관련 사업을 공식화하고 수소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국토교통부 주관 시공능력평가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한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올해 주총에서 정관에 '수소' 사업을 새롭게 추가했다.
수소 산업은 탄소중립 기조와 맞물려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수소 발전 시장 규모는 오는 2027년 약 2635억 달러(한화 385조8957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에 미국·유럽·중동 등 주요 국가들은 수소 기반의 전력 생산과 공급망 구축에 앞다퉈 투자하고 있으며 국내 건설사들도 이 흐름에 합류하는 모양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우선 삼성물산은 지난달 14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수소 발전·관련 부대사업 △의약품 연구개발 △통신판매중개업 등 새로운 사업군을 정관에 포함했다.
삼성물산은 국내외에서 수소사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이다. 지난 2023년에는 글로벌 에너지 전문기업 DGA(Diamond Generating Asia)와 호주 그린수소·암모니아 프로젝트 공동 개발과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사업으로 양사는 서호주 지역 신재생 발전 단지를 조성하고 이와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설비 등을 구축할 예정이다. 향후 생산된 그린수소는 암모니아로 변환해 한국과 일본에 공급할 방침이다.
국내에서는 김천시에 100%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시설 구축에 돌입했다. 지난해엔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삼척종합발전단지'에 혼소 발전을 위한 3만톤급 규모 수소 화합물을 압축하는 등의 인프라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 단독으로 EPC를 일괄 수행하며 완공은 오는 2027년 7월 예정이다.
삼성그룹 차원에서도 수소 사업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이미 삼성그룹 내 플랜트 전문 기업인 삼성엔지니어링은 그린 수소 생산과 암모니아 수소 운송, CCUS 등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여기에 삼성물산이 수소발전 인프라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경우 그룹 내 수소 밸류체인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평 2위인 현대건설 역시 같은 달 20일 △수소에너지사업을 정관에 추가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전북 부안에 국내 최대 규모의 상업용 수전해 수소생산설비를 착공해 연내 준공 예정이다. 완공 후 이 시설에서는 하루 1톤 이상의 수소를 생산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수소차 '넥쏘'와 상용 수소트럭을 앞세워 수소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 중이다. 현대제철도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에 현대건설이 수소에너지 사업을 정관에 포함시킨 것도 수소 생산·운송·활용을 아우르는 수소 경제 전반에 그룹 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읽힌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수소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단순한 신사업 진출을 넘어 기후위기와 에너지 전환 시대에 대비한 생존 전략"이라며 "기존 EPC(설계·조달·시공) 역량을 기반으로 수소 플랜트와 인프라 구축 등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건설사들이 정부가 내세우는 수소 로드맵 정책과 결을 같이하는 전략적 접근도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정부가 2022년 발표한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 등을 보면 수소 생산 방식 다변화와 수소 전용 인프라 확대,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연계된 사업기회를 민간이 적극적으로 포착하는 것이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라는 분석이다.
국내 한 토목공학과 교수는 "수소 산업은 초기 진입 비용이 매우 높고 기술 확보와 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자본과 시간이 소요된다"며 "기술 진입장벽이 높지만 중장기적으로 확실한 성장 잠재력을 지닌 분야"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수소 생산부터 저장·운송·활용까지 전주기를 아우르는 생태계가 하나의 기업 단독으로 완성되기 어려운 구조"라며 "국가 차원의 정책 지원과 방향성에 발맞춰 민간 기업의 투자와 기술개발이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김정일 산업2부 myth-01@hanmail.net
입력 : 2025-04-08 05:00 수정: 2025-04-08 05:00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벤츠 딜러사 1위’ 한성자동차, 서비스망·프로모션으로 경쟁력 강화
미·중 관세 전쟁 여파…애플 너머 'LGD·이노텍'까지 '저격'
[김기자의 돋보기] ‘반갑다 여름아’… 더 뜨거운 ‘카스’ 팝업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