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시아타임즈=정종진 기자] 한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자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잇따라 올해 한국 경제의 성장률 전망 눈높이를 낮추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JP모건은 이날 올해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0.5%로 제시했다. 지난 8일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0.9%에서 0.7%로 내린데 이어 2주 만에 다시 0.2%포인트(p) 낮춘 것이다.
이는 한은에서 발표한 올해 1분기 GDP 속보치가 전분기대비 0.2% 감소한 것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씨티은행 역시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8%에서 0.6%로 0.2%p 낮추고 내년 성장률도 기존 1.6%에서 1.3%로 내렸다.
박석길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관세 충격 전 GDP 성장과 분투' 보고서에서 "건설 사이클 지연과 2024년 4분기와 2025년 1분기 정치적 소란으로 내수 회복이 지연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지난 2분기 동안 실질 수출 성장은 실망스러웠다"면서 "관세 충격을 앞두고 예상했던 견조한 출하량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분기 기저 효과로 민간 소비와 서비스 부문의 기술적 반등이 있겠지만 상호 관세를 앞두고 수출은 지속해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도 보고서에서 "미국 관세 정책의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내 정치적 문제 등으로 인해 1분기 GDP가 부진하게 나왔다"고 하향 조정 배경을 설명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통상정책으로 인한 경제 하방 위험 등을 고려하면 누적 추가경정예산(추경) 예산 규모가 50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최대 50조원 규모 추경이 이뤄진다면 재정승수를 0.2~0.4로 가정했을 때 4개 분기에 걸쳐 0.38~0.77%p 정도 성장률을 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재정 집행이 늦어지면 올해 성장률 보완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나아가 현재 연 2.75%인 한은 기준금리와 관련 인하사이클 최종금리 수준 전망을 기존 연 2.00%에서 연 1.50%까지 하향 조정했다. 세부적으로는 올해 5월과 8월 그리고 11월 세차례 낮추고, 내년 2월과 5월 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이란 관측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정종진 경제부 jjj@asiatime.co.kr
입력 : 2025-04-25 09:40 수정: 2025-04-25 09:40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섬유·석유화학 불황’ 탈출구?…태광산업, 신사업 ‘조 단위 베팅’ 건 이유
베트남 거점 확보 경쟁…연 10% 성장 시장 정조준
애경산업 새 주인 누가될까… 사업성 ‘태광’ 앞서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