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99.2% "정기휴무일 없어"
advertisement
[아시아타임즈=김민솔 기자] "5월 연휴에 가게를요? 당연히 열죠. 연휴면 더 가게를 못 닫죠." 5월 초 '황금 연휴'를 앞두고 ,서울 영등포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자영업자 A씨는 이렇게 말했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프랜차이즈(가맹점)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5개 주요 업종 가맹점 중, 정기휴무일이 없는 곳은 16만9364곳에 달했다. 이는 전체 가맹점(27만86개)의 62.7%에 해당한다.
정기휴무일은 공휴일·명절 등을 제외하고 가맹점이 정기적으로 쉬는 날을 뜻한다.
정기휴무일이 없는 가맹점 비율은 편의점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 편의점(5만4828개) 중 99.2%에 달하는 5만4392곳은 정기휴무일 없이 운영되고 있었다.
커피·기타 비알코올음료점업 3만2241곳 중 81.4%에 해당하는 2만6234곳은 정기휴무일이 없었다. 제과점업은 78.3%가 정기휴무일을 두지 않고 있었다.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59.5%), 생맥주·기타주점업(56.8%)에서도 정기휴무일이 없는 가맹점이 절반 이상이었다.
자동차 전문 수리업(2.8%), 의약품·의료용품 소매업(12.1%)은 대체로 정기휴무일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하루 평균 영업시간이 14시간 이상인 곳은 7만2972개(27.0%)였다. 이 중 편의점은 14시간 이상 영업 비율이 99.7%였다. 이어 △제과점업(34.3%) △가정용 세탁업(24.3%) △커피·기타 비알코올 음료점업(19.1%) △문구·회화용품 소매업(18.8%) 순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들이 휴무일 없이, 오랜 시간 매장을 운영하는 이유로는 '치열한 경쟁'이 꼽힌다. 취업자 5명 중 1명이 자영업자일 정도로 자영업 의존도가 높은 데다가, 영세한 영업장이 많아 정기휴무를 갖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에 내수 부진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1064조2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1조원 늘었다. 자영업자 1인당 평균 대출 규모는 2023년 3억3600억원에서 지난해 3억4200만원으로 600만원 증가했다.
특히 다중채무자 중 저소득·저신용인 차주를 뜻하는 '취약 자영업자 차주'는 42만7000명으로 전체의 13.7%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자영업자의 평균 소득은 지난해 말 소폭 증가했지만, 높은 자영업자 비중 등 구조적 요인에 서비스업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구조적 취약성 및 서비스업 경기 부진 등으로 인해 자영업자의 소득 회복이 지연되면서 대출 연체율이 취약차주 등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며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개별 자영업자에 대한 지원정책을 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황병준 산업/유통부 hwangbj26@asiatime.co.kr
입력 : 2025-04-23 16:16 수정: 2025-04-23 16:16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에쓰오일 '샤힌' 공정률 80%…'설비감축' 기조 역행 핵폭탄
‘수익성’ 특명 받은 강승협…신세계푸드 실적으로 증명한다
전남 의대, 지역의사제 첫 시험대⋯ 공공의대 공약 실현 주목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