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출 위주 제조업 밀집…'대외 변화'에 더욱 취약
부산·경남은행 지역 내 기업 유치·상생금융 박차
"관세 파고 넘을 재정지원…산업구조 전환 필요"
[아시아타임즈=정종진 기자] 경기 둔화로 지역경제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는 가운데 부산·울산·경남 등 동남권 지역은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다른 지역보다 더 큰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수출 위주의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경제의 특성상 과거 '트럼프 1기'때 동남권 경제성장률이 0%대에 머물렀던 악몽이 이번 '트럼프 2기'때도 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동남권에 뿌리를 내린 부산·경남은행 역시 부·울·경 기업과 가계 모두 연체율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무엇보다 지역경제가 활성화돼야 은행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 위기 의식 속에 상생금융에 매진하고 있다.
나아가 지역 경제 전문가들은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 등 '관세 파고'를 넘길 수 있는 버팀목은 물론 제조업의 첨단화를 비롯해 서비스업의 고도화를 통해 동남권 경제가 발전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2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부·울·경 지역별 원화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 1월말 기준 부산, 울산, 경남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각각 0.63%, 0.28%, 0.46%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0.16포인트(p), 0.07%p, 0.08%p 높아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특히 부산 지역의 경우 같은 기간 전국 원화대출 연체율 상승폭(0.11%p)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기업대출은 물론 가계대출 모두 연체율이 악화한 가운데 울산과 경남에선 가계대출 연체율이 각각 0.18에서 0.24%로, 0.23에서 0.33%로 뛰면서 전국 가계대출 연체율 오름폭(0.38%에서 0.43%)을 웃돌았다.
이에 부·울·경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사정도 악화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전년대비 각각 0.14%p, 0.11%p 오른 0.62%, 0.45%를 기록했다.
3개월 이상 연체돼 사실상 회수가 어려워진 고정이하여신(NPL) 잔액이 부산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2580억원에서 5476억원으로 두배 이상 폭증했고, 경남은행 역시 1595억원에서 1990억원으로 늘었다.
문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한 이후 전세계적으로 '관세 전쟁'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동남권에 닥칠 충격이 적잖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 BNK경영연구원이 추정(2023년)한 동남권 경제성장률을 살펴보면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시작된 지난 2017년 0%, 2018년 0.2%로 0%대를 나타냈고 2019년에야 1%대를 회복할 수 있었다.
더욱 수출 위주의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경제의 특성상 대외 충격에 취약해 이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인한 수출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고 있는 형국이다.
이처럼 동남권 경제에 먹구름이 예상되면서 지방은행 역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지역경제가 살아나야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도 뒤따라올 수 있기 때문이다.
부산은행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내 기업 유치를 위해 '부산시 투자기업 및 출향기업 특별대출'을 실시중이다. 대상 기업은 부산시로 사업장을 이전하거나 R&D센터 건립 또는 공장 건립을 진행·계획하고 있는 '부산시 내 투자기업 또는 투자예정기업'이다.
부·울·경 기회발전특구 입주(예정)기업과 해당 지역으로 복귀를 준비하는 출향기업도 특별대출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총 2000억원 규모로 마련된 이번 특별대출은 업체별 최대 100억원 한도로 지원하며 금융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최대 1.60%p의 금리우대 혜택도 제공하기로 했다.
강석래 부산은행 기업고객그룹장은 "지역 경제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건강한 기업들이 지역에 유치되고 이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며 "유치기업들이 지역에 단단하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견인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남은행은 지역 지방자치단체들과 연이어 '소상공인 희망나눔 상생금융'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소상공인 희망나눔 상생금융은 경기 침체로 인한 매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금융지원을 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이다.
지자체와 협업해 지역 내 개인사업자들을 대상으로 무담보·무보증으로 개인당 2000만원까지 저금리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또 경남 주력산업 관련 지역들과 동반성장하기 위해 경상남도, 경남신용보증재단, 중보센터기업진흥공단 등과 업무 협약을 맺고 행정·재정적 지원과 정책사업 및 금융자금 지원 등에 상호 협력하고 있다.
김태한 경남은행 행장은 "지역 주력산업에 대한 지원은 지방 소멸을 막고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이 될 것"이라며 "조선업 선수금 환급보증(RG) 발급, 탄소저감 기술기업 금융지원 등 각종 지원을 통해 경남 주력산업에 힘을 보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울러 경남의 주력산업인 조선을 비롯해 방산과 항공 등이 더욱 성장 발전할 수 있도록 함께 하겠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선 지방은행들의 노력은 물론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높은 관세 파고를 넘길 수 있도록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제조업의 첨단화, 서비스업의 고도화 등을 통해 구조적인 취약점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BNK경영연구원 관계자는 "지역경제 전반적으로 고령화 등 인구구조적 문제를 겪고 있는 가운데 동남권의 경우 산업구조가 조선, 기계, 자동차 등 중후장대형 산업들이 중심이다보니 대외 경기 변화에 더 민감하게 움직일 수밖에 없다"며 "과거 트럼프 1기 때도 동남권이 영향을 많이 받았고 이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서도 조선업의 경우 사정이 나쁘진 않지만 기계, 자동차 등 부문에선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기업들이 현재의 파고를 넘을 수 있도록 재정적인 정책 또는 금융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면서 "나아가 중장기적으로는 제조업의 첨단화, 서비스업의 고도화를 통해 산업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유승열 경제부 ysy@asiatime.co.kr
입력 : 2025-04-23 14:45 수정: 2025-04-23 16:49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섬유·석유화학 불황’ 탈출구?…태광산업, 신사업 ‘조 단위 베팅’ 건 이유
베트남 거점 확보 경쟁…연 10% 성장 시장 정조준
애경산업 새 주인 누가될까… 사업성 ‘태광’ 앞서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