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휴 건물에 식물공장·체험·캠핑장 결합
advertisement
[아시아타임즈 경기취재본부=임성민 기자]경기도가 농촌 지역의 인구 유출과 유휴 자원 방치를 동시에 해결할 해법으로 '체류형 농촌 스마트팜' 모델을 확장한다.
도는 18일 "지난달 두 곳을 선정한 사회혁신형 스마트팜 구축사업의 추가 공모를 진행해 1곳을 더 발굴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스마트팜을 짓는 데 그치지 않고 교육·체험·관광 기능을 얹어 지역경제와 공동체를 모두 살리겠다는 복안이다.
체류형 농촌 스마트팜은 폐교·폐공장·창고 등 장기간 방치된 건물 내부에 LED 조명·스마트 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식물공장을 조성하고, 외부 운동장·교실 등은 체험학습장, 카페, 캠핑장, 미니 동물농장 등으로 꾸미는 복합 모델이다. 한 공간에서 연중 농산물을 생산해 현장 체험과 판매를 연계하고, 방문객의 숙박·레저 수요까지 끌어안으면서 다층 수익 구조를 만든다.
도가 밝힌 예산 규모는 총 11억2,200만 원. 도와 시‧군이 절반씩 분담(각 5억500만 원)하고, 사업 주체가 10% 이상을 자체 부담한다. 지원 항목은 식물공장 핵심 설비(자동양액·제어장치·인공광 LED), 외벽·단열·전기 시설, 공동 작업장·저장고, 교육‧체험실, 가공‧판매시설 등 '생산-체험-판매' 전 과정을 망라한다. 단순 시설 설치비뿐 아니라 설계, 컨설팅, 운영 준비비까지 포함돼 있어 중·소규모 사회적경제 주체도 도전할 수 있는 구조다.
이번 공모는 단순한 농업 혁신 사업이 아니다. 도는 '사회혁신형'이라는 타이틀에 맞춰 취약계층 고용, 지역사회 수익 환원, 기후·환경 교육 등 사회적 가치를 충실히 계획한 제안서에 높은 가산점을 부여한다.
신청 자격도 지자체, 사회적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농업인·농업법인 등으로 열어 두되, 컨소시엄 구성 시 사회적경제 주체가 사업을 주도하도록 유도했다. 실제 지난 3월 1차 선정지 두 곳 모두 청년 협동조합과 복지재단이 참여해 로컬푸드 카페, 발달장애 청년 일자리 프로그램을 결합시킨 사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공모 기간은 16일부터 5월 13일까지다. 심사는 5월 말 열릴 예정이며, 선정 결과는 경기도 누리집에 공고된다.
체류형 모델은 방문객에게 숙박·캠핑 등 장기 체류 동기를 제공해 지역 소비를 확장하고, 시설 관리·체험 진행 인력으로 청년·취약계층 상시 고용을 가능케 한다.
전문가들은 체류형 스마트팜 성공 열쇠로 △지속 가능한 수요 확보 △로컬 콘텐츠 차별화 △ICT 유지보수 인력 확보 △영농·체험·관광 간 사업 위험 분산 등을 꼽는다. 특히 스마트팜 설비가 고장 났을 때 즉시 대응할 수 있는 기술 인력과, 계절·연령·트렌드에 맞춘 체험 프로그램 기획력이 함께 갖춰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이원일 뉴미디어부 201@asiatime.co.kr
입력 : 2025-04-18 15:55 수정: 2025-04-18 16:02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섬유·석유화학 불황’ 탈출구?…태광산업, 신사업 ‘조 단위 베팅’ 건 이유
베트남 거점 확보 경쟁…연 10% 성장 시장 정조준
애경산업 새 주인 누가될까… 사업성 ‘태광’ 앞서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