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뛰는 뉴스 더 깊은 뉴스 더 다른 뉴스 더 함께 뉴스 오피니언 기업과 경제 뉴스 전국 네트워크
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위로가기 버튼
상단메뉴아이콘
상단검색 아이콘
CJ 제일제당, 오세아니아서 K-푸드 신영토 확장

CJ 제일제당, 오세아니아 전략 지역으로 꼽아
뉴질랜드·호주 등 현지 마트 공략 중

advertisement

[아시아타임즈=김민솔 기자] CJ 제일제당이 오세아니아 지역 사업 확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image
뉴질랜드 대형마트에 출시하는 '비비고 홈스타일 만두' 2종. (사진=CJ 제일제당)

CJ 제일제당이 뉴질랜드 대형마트 체인 '뉴월드(New World)'와 '팍앤세이브(PAK'nSAVE)'에 비비고 만두를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출시 제품은 '비비고 홈스타일 돼지고기·돼지고기&김치맛 만두(bibigo Homestyle Mandu Pork Dumplings·Pork&Kimchi Flavored Dumplings)' 2종이다. 해당 제품은 이달부터 호주·뉴질랜드의 한인마트 등에서 판매 중이며, 9월 초 최대 도시인 오클란드 지역 뉴월드·팍앤세이브를 시작으로 뉴질랜드 전역 매장으로 입점을 확대할 계획이다.

 

뉴월드와 팍앤세이브는 뉴질랜드의 대표 마트 체인으로, 전국에 200여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호주 코스트코에서는 이달부터 'CJ 고단백 바삭칩(Protein Basak Chip)', '비비고 스프링롤'을 출시했다. '바삭칩'은 깨진 조각쌀을 이용해 만든 스낵으로, 지난 2022년 CJ 제일제당의 사내벤처 프로젝트로 만들어졌다. 지난해 12월부터는 미국·말레이시아·홍콩 현지 유통채널에 입점했다.

 

오세아니아는 CJ 제일제당이 'K-푸드 신영토 확장' 전략 지역으로 선택한 곳 중 하나다. CJ 제일제당은 지난해 5월 호주 최대 대형마트인 '울워스(Woolworths)'에 비비고 만두를 출시했고, 11월에는 편의점 체인 '이지마트(Ezymart)'에 비비고 떡볶이·김스낵·햇반 등 제품 14종을 선보였다. 현지 메인스트림 유통채널 진입에 힘쓰면서 CJ 제일제당의 올해 2분기 오세아니아 식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 성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차유진 CJ 제일제당 오세아니아 법인장은 "호주에 이어 뉴질랜드 소비자들에게도 글로벌 인기 제품인 비비고 만두를 선보이게 됐다"며 "다양한 K-푸드 제품으로 현지 유통채널 입점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김민솔 기자 산업/유통부
다른기사 보기
kms@asiatime.co.kr [저작권자ⓒ 아시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아시아타임즈는 독자신뢰를 위해 기자데스크를 함께 공개하는 '기사 책임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데스크 : 황병준 산업/유통부 hwangbj26@asiatime.co.kr

입력 : 2024-08-21 11:13 수정: 2024-08-21 11:13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속보]이재명, 역대 최고 득표율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

[아시아타임즈=배종완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27일 권리당원 선거인단, 전국대의원, 재외국민 선거인단 투표 결과 50%와 국민선거인단 투표결과 50%를 반영한 후보별 최종 투표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가 89.77%로 과반을 넘겨 대선 공식 후보로 결정됐다. 김동연, 김경수 후보는 각각 6.87%, 3.3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韓·美 관세협상 "최종 타결 늦출수록 좋다"

허준영 교수 "시간은 미국 편이 아냐" 환율 문제, 韓 기획재정부·美 재무부 별도 논의 안덕근 장관 "실무 협의에서 최선을 다할 것" [아시아타임즈=배종완 기자] 미국과 관세 협상의 최종 타결을 가급적 늦추는 것이 우리에게 더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을 향한 비판이 미국 안팎에서 거세지는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상대적으로 미국 측의 협상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논리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시간이 미국 편이 아닐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며 "협상이 뒤로 밀리면 밀릴수록 미국의 협상 레버리지가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중국에 무려 145%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에 자신감을 보였지만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자 최근 대중 관세율을 낮출 수 있다는 취지로 언급하며 한발 물러섰다. 27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지난 2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2+2 통상 협의에서 이른바 '7월 패키지' 합의를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미국의 90일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기 전에 7월 8일까지는 관세 폐지를 목표로 협상을 본격화하겠다는 것이다. 미국 측이 비관세 장벽 중 하나로 주장하는 환율 문제는 기획재정부와 미국 재무부 채널에서 별도 논의하기로 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전부터 지적해 온 방위비 증액 문제도 테이블에 오르지 않았다. 한미 양측은 협의가 끝난 뒤 "상당히 좋은 출발", "매우 성공적" 등의 표현을 써가며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당한 뒤 조기 대선 정국이 시작된 상황에서 '7월 패키지'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관측도 나온다. 6월 차기 정부 출범을 앞둔 시점에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합의안에 사인을 하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이다. 한미 통상 협의 직후 미국 측이 서둘러 합의하려는 모습을 보이며 우리 측과 온도차를 보인 것도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베선트 장관은 이르면 이번 주 '양해에 관한 합의(agreement on understanding)'에 이를 수 있다며 "우리는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어차피 바로 해결될 일은 아니었다"며 "서로 의중을 알아본 뒤 이제 협상을 시작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가 유예한 25%에 달하는 상호관세와 관련해서는 우리 측의 우려만 전달했을 뿐 방향성 논의까지 나아가지 못한 점은 불확실성으로 남게 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실제 품목 관세가 어떻게 될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정할 부분"이라며 "실무 협의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철강·알루미늄·자동차에 25%의 품목 관세에 더해 지난 5일부터 10%의 기본 관세(보편관세)가 발효된 상황에서 25%의 상호관세는 한국 경제에 큰 추가 악재다. '7월 패키지 딜'까지 상호 관세는 경제 주체들을 옥죄는 불확실성이 될 수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7월까지 상호관세 부과 여부 결정이 안 되면 기업들은 생산기지 건설·인수합병 등 중요한 의사 결정을 할 수가 없다"며 "결국 신규 투자는 위축되고 고용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설이 불거지면서 경제 리더십의 부재가 또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불안해서 미리 왔다"…SKT 가입자들, 유심 바꾸려 긴 줄

28일 정식 교체 이전부터 이용자 몰려 다음주 초 유심 공급 부족 현상 가능서 '커' SKT, 유심 물량 확보에 총력 [아시아타임즈=배종완 기자] "28일부터 정식으로 유심(USIM)을 교체해 준다고 하는데 불안해서 미리 왔어요. 내 정보가 새어 나가면 안되잖아요." 해킹사건으로 가입자 유심 정보가 노출된 SK텔레콤 이용자들이 유심 무상 교체 시행 전,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면서 주말을 이용해 SK텔레콤 대리점을 찾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등 전국 곳곳의 SK텔레콤 대리점에는 유심 교체를 하려는 가입자들이 몰리고 있다. 일단 유심 교체 후 환급을 받을 수 있고, 예약도 가능해 주말을 이용해 수 많은 이용자가 대리점으로 발길을 재촉하고 있다. 수 많은 사람이 몰리며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유심 재고가 없어 발길을 돌렸다'는 사연도 다수 올라오고 있다. SK텔레콤은 무상 교체 서비스 개시 전인 19~27일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고객에게도 소급 적용해, 고객이 이미 납부한 비용에 대해 요금 감면 방식으로 별도로 환급하기로 결정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유심 무료 교체를 공식적으로 시작하는 28일 오전 10시 전 최대한의 물량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며 갑작스럽게 수요가 몰릴 것에 대비해 교체 예약 신청을 받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 가입자 전체가 유심을 교체한다고 가정하면 SK텔레콤이 지불할 비용은 유심 가격 7700원에 SK텔레콤 고객 약 2300만명을 곱한 약 1771억원으로 추정된다. 다만 일부 워치 및 키즈폰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SK텔레콤 대상자들이 원하는 교체 수량을 맞추기 위해 유심이 대량 필요한 만큼 무상 교체 시행 초반인 '다음 주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 보인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유심 교체 전 타인이 자신의 명의로 휴대전화를 개통할 가능성을 우려한 이용자들이 PASS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가입정보 조회 및 제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몰리면서 주말 한때 접속 장애가 빚어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