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32조7657억, 영업손실 7조7303억
업황 반등 힘입어 1년 만에 분기 흑자
advertisement
[아시아타임즈=김형식 기자] 메모리 반도체 업황 반등이 본격화된 가운데 SK하이닉스가 지난해 4분기 346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로써 2022년 4분기부터 이어져온 영업적자에서 1년 만에 벗어났다.
SK하이닉스는 25일 실적발표회를 열고, 지난해 4분기 매출 11조 3055억 원, 영업이익 3460억 원(영업이익률 3%), 순손실 1조 3795억 원(순손실률 12%)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AI 서버와 모바일향 제품 수요가 늘고, 평균판매단가(ASP, Average Selling Price)가 상승하는 등 메모리 시장 환경이 개선됐다”며, “이와 함께 그동안 지속해온 수익성 중심 경영활동이 효과를 내면서 당사는 1년 만에 분기 영업흑자를 기록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3분기까지 이어져온 누적 영업적자 규모를 줄여, 2023년 연간 실적은 매출 32조 7657억 원, 영업손실 7조 7303억 원(영업손실률 24%), 순손실 9조 1375억 원(순손실률 28%)을 기록했다.
지난해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등 주고객사 수요에 적극 대응한 결과, 주력제품인 DDR5와 HBM3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4배, 5배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다만, 상대적으로 업황 반등이 늦어지고 있는 낸드에서는 투자와 비용을 효율화하는 데 집중했다고 언급했다.
SK하이닉스는 고성능 D램 수요 증가 흐름에 맞춰 AI용 메모리인 HBM3E 양산과 HBM4 개발을 순조롭게 진행하는 한편, 서버와 모바일 시장에 DDR5, LPDDR5T 등 고성능, 고용량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AI향 서버 수요와 온디바이스(on-device) AI 응용 확산을 대비해 고용량 서버용 모듈(MCRDIMM)과 고성능 모바일 모듈(LPCAMM2) 준비에도 만전을 기해 기술 리더십을 지켜간다는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이날 2023년 4분기 실적 콘퍼런스 콜을 통해 "올해는 일반 D램의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작년에 비해 HBM 가격 프리미엄이 다소 줄어들 수도 있다"면서도 "올해 신규 출시돼 판매 확대되는 HBM3E는 HBM 대비 개발 난이도가 증가하고 투입 비용이 증가되는 점을 고려해 가격 프리미엄이 반영될 것이기 때문에 HBM 제품 내 믹스 변화로 인한 프리미엄 수준을 유지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AI향 메모리는 안정적인 품질을 충족해야 하는 제품 특성상 고객과의 긴밀한 협업이 필수적"이라며 "HBM 제품을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높은 비용과 상대적으로 긴 제조 시간을 고려해 고객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SK하이닉스는 같은날 직원 성과급 지급을 위한 672억원 규모의 자사주 처분 계획도 함께 공시했다. 주당 14만800원에 내달 29일 장외 처분할 예정으로 처분 예정 금액은 672억1651만2000원이다.
회사 측은 "어려운 경영 환경을 극복하고 큰 폭의 기업가치 상승을 이끈 구성원에게 자사주 15주와 격려금 2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공지했다. 격려금은 오는 29일, 자사주는 추후 필요한 절차를 거쳐 다음 달 말 지급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김종길 산업부 kjk54321@asiatime.co.kr
입력 : 2024-01-25 10:03 수정: 2024-01-25 10:18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SK이노 자회사 'SK온·SK엔무브' 합병…재무·기술력 제고 기대
기관총 실탄 들고 서울중앙지검 들어가려면 20대 검거
[AT 현장] 빌리엔젤, K-디저트로 미국 간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