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바이오,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 유상증자 자본확충
주식수 늘면 지분 희석돼 주주가치 하락 우려 제기
advertisement
[아시아타임즈=이지영 기자] 바이오 업계에서 빈번이 이뤄지는 유상증자가 주주에게 있어 '양날의 검'이 되고 있다. 유상증자가 업의 특성상 자금 조달 창구가 될 수 있지만 되려 주주 가치가 희석될 것이라는 우려의 시선도 뒤따른다.
24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유상증자 발행을 통한 자금 확보가 급증하고 있다. 유상증자는 주주가 회사에 추가로 돈을 넣고 회사가 주주에게 주식을 발행해 주는 방식의 자본금 확충 수단이다. 통상적으로 기존 주주배정, 일반공모 방식, 제3자 배정 등으로 이뤄진다.
실제로 국내 바이오기업은 연구·개발(R&D) 자금 조달을 위해 유상증자에 나서는 사례가 많다.
씨티씨바이오는 최근 10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주당 발행가는 6141원이다. 운영 및 채무상환 자금 조달이 목적이다. 유상증자 배정 대상은 더브릿지, 케이엠티랩, 파일약품 등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씨티씨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는 전략적 협력을 통해 회사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라며 " 현금 유동성 강화로 임상 3상 막바지 단계에 있는 조루·발기부전 복합제의 성공적인 허가 및 출시를 위한 목적"이라고 말했다.
기업 간 유상증자 참여방식을 통한 투자도 늘고 있다. 휴온스는 지난 3일 이사회를 열고 팬젠의 유상증자 참여 방식으로 95억원을 투자하는 안건을 결의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팬젠이 연구·개발하는 바이오의약품 파이프라인을 미래 포트폴리오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협업의 토대를 마련한다. 또 관계사 휴온스랩과 체결한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기술 도입 파트너십에 대한 결속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휴온스 관계자는 "휴온스 포함 그룹 차원에서 팬젠과 바이오의약품 사업 전개를 위한 견고한 파트너십을 이어갈 예정"이라며 "CDMO 사업을 비롯해 바이오의약품 관련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반면 일부 바이오 기업은 관리종목 지정에 직면한 상황에서 급한 불끄기 방식의 유상증자가 이뤄지고 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르면 최근 3년 중 2개년도에서 연결기준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이 있는 기업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 시장 신뢰도가 악화되고 자금 조달이 어려워 진다. 이같은 경우 유상증자는 관리종목을 피하기 위한 자본 확충의 목적을 가진다.
펩트론은 지난해 12월 유상증자 대금 689억원이 납입돼 관리종목으로 지정 위기를 피했다. 앞서 펩트론은 2019년 자기자본 280억원, 법차손 176억원을 냈다.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의 비율은 62.7%에 달했다. 이후 지난해말 자기자본 771억원, 법차손 183억원을 내며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의 비율은 23.7%를 기록했다.
헬릭스미스도 지난해 12월 1612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성공해 한숨을 돌렸다. 앞서 지난 2019년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 비율이 54.35%였다. 지난해 3분기 말에도 47.86%를 기록했다.
관리종목 위기에 처했다가 지난해말 유상증자로 자본금 1612억원을 확보했다. 헬릭스미스는 지난해말 기준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의 비율은 30%를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유상증자가 절대적인 악재나 호재로 단정짓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해당 기업이 공격적인 R&D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운영 자금 조달에 나섰다면 호재로 보는 경향이 있다.
반면 재무 상태가 악화돼 빚을 탕감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진행할 경우 시장에선 악재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다만 해당 회사의 미래가치가 높아서 부채 감축 이후 다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면, 장기적으로 주가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기도 한다. 유상증자를 실시할 경우 투자자의 가장 큰 우려는 발행주식수 증가에 따른 주주가치 희석이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상당수 바이오텍은 R&D에 지속적인 비용 투자에 따른 영업손실이 커지는 상황에서 당장 수익을 내지 못한 채 투자시장에서 퇴출되는 상황"이라며 "이에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을 확충하고 차입금을 상환해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자금 확보에 나서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advertisement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훅 다가온 AI가 만든 세대차이⋯ "기회나 안정이냐"
도덕적 해이 논란 속 새도약기금 출범…113만명 빚 탕감 길 열려
"비주얼이 경쟁력"… 식품업계 달라진 성공 방정식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