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GS건설, 삼성물산, LX하우시스 등 기술개발 나서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 갈등 증가 추세
49dB 맞추지 못하면 준공 불허…정부 규제 강화
[아시아타임즈=이현주 기자] 건설·건자재 업계가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특화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 갈등이 살인 등 강력범죄로 이어지면서 정부가 규제 강화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최근 LX하우시스와 '고성능 층간차음 바닥구조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GS건설은 LX하우시스가 층간차음 바닥구조 완충재로 자체 개발한 고성능 폴리우레탄을 아파트 바닥 시공에 사용해, 입주 시 바닥충격음 측정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층간차음 바닥구조 개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향후 GS건설은 LX하우시스가 개발한 폴리우레탄 완충재 시제품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바닥구조를 개발하고 인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GS건설은 실제 현장 공사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공사시방서를 만들어 시공에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자체 개발한 층간소음 차단기술인 'H 사일런트 홈 시스템Ⅱ'를 올해 상반기 준공 예정인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에 최초로 적용하고, 층간소음 차단 1등급 바닥구조의 공동주택 적용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H 사일런트 홈 시스템 Ⅱ'는 현대건설이 지난 2021년 개발한 'H 사일런트 홈 시스템 Ⅰ'을 업그레이드한 기술로, 고성능 완충재와 고밀도 특화 몰탈 등을 활용해 '뜬 바닥구조' 성능을 극대화한 바닥구조다. 특히 소음 저감과 충격 흡수에 뛰어난 PET(폴리에스테르)와 PU(폴리우레탄) 등을 고성능 완충재로 사용해 사람이 걷거나 뛸 때 저주파 진동으로 전달되는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현대건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이 층간소음 저감기술은 지난 2022년 경량 및 중량 충격음 시험에서 모두 1등급 인증을 획득하며 독보적인 성능을 입증받은 바 있다.
삼성물산도 지난 2022년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전문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일찌감치 층간소음 저감에 나섰다. '래미안 고요안랩'은 연면적 2380㎡, 지하 1층 ~ 지상 4층 규모의 국내 최대의 층간소음 전문 연구시설이다. 삼성물산은 층간소음의 원인과 현황 분석에서부터 재료와 구조, 신(新)공법에 이르기까지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시멘트업계도 층간소음 저감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삼표산업은 지난해 아파트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고성능·고밀도 모르타르 제품 2종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밀도가 높은 골재를 사용해 단위 면적당 모르타르의 밀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기존 모르타르를 대체해 시공(40㎜)하거나 모르타르 층의 두께를 증가(70㎜)시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밀도가 높은 골재를 사용하는 만큼 진동과 충격 저항으로부터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일반 모르타르 대비 물 사용량도 적어 내구성과 균열 저항성도 우수하다.
건설·건자재 업계가 이처럼 층간소음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 갈등이 살인 등 강력범죄로 이어지는 사례가 끊이질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환경공단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에 따르면 2012년 1만624건(전화 8795건·현장진단 1829건)에 불과했던 민원 접수 건수는 2023년 4만4204건(전화상담 3만6435건·현장진단 7769건)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층간소음 관련 살인·폭력 등 5대 강력범죄도 매해 증가 추세다.
정부도 층간소음 해소를 위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23년 12월 공동주택 층간소음 대책에서 소음 기준인 49dB을 맞추지 못하면 준공 허가를 내주지 않겠다는 초강수를 뒀다. 지난해 7월에는 층간소음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단지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나오기도 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층간소음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정부가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서 건설·건자재 업계가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김정일 산업2부 myth-01@hanmail.net
입력 : 2025-02-19 10:24 수정: 2025-02-19 10:24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K-뷰티, '美 관세 10%' 버텼는데… 관세 폭탄 '초긴장'
'소비쿠폰=생필품'…예상 적중에 편의점 매출 ‘고공행진’
장관급 협상에도 美철강관세 50% 유지 전망…철강업계 한숨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