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류빈 기자] 개인정보 유출 의혹으로 정부 조사를 받는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 개발사 스캐터랩이 커뮤니티 게시판을 폐쇄했다. 이용자들 사이에선 집단소송 독려를 막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과 함께 불만이 커지고 있다.
19일 IT업계에 따르면 스캐터랩은 전날 연애 분석 앱 '연애의 과학'의 앱 내 커뮤니티를 잠정 폐쇄했다.
스캐터랩은 폐쇄 이유와 관련해 "연애의 과학 커뮤니티는 연애 관련 고민을 나누는 건강한 커뮤니티를 지향하는데, 최근 '이루다' 이슈와 관련해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내용을 담은 도배성 글이 올라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허위 사실 및 도배 글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뮤니티 운영을 일시 중단한다"며 "의도적으로 게시글 작성·삭제를 반복하며 관리자를 사칭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애의 과학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봤다며 집단 소송 절차를 밟고 있는 이용자들은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선 이용자들이 게시판을 통해 집단소송 참여를 독려하자 이를 막기 위해서 닫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스캐터랩은 연애 분석 앱 ‘연애의 과학’으로 이용자들의 카카오톡 대화를 수집해 이루다 개발에 쓰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을 어겼다는 의혹이 일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조사를 받고 있다.
연애의 과학 앱 이용자와 이용자의 연인에게 개인정보 이용·활용 동의를 제대로 받지 않은 점, 데이터를 이루다 재료로 쓰는 과정에 익명화(비식별화)를 제대로 하지 않은 점 등이 핵심이다.
연인들 대화 데이터를 사내 메신저에 부적절하게 공유한 직원이 있었다는 의혹도 받고 있으며, 제대로 익명화하지 않은 데이터를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 '깃허브'에 공유한 사실도 확인됐다.
현재 연애의 과학 앱은 정상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또 다른 개인정보 유출이 나오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카톡 대화를 수집했다가 위법 논란의 핵심이 됐던 '카톡으로 보는 속마음' 서비스도 기존처럼 운영 중이다.
또한 '결혼 전 체크리스트', '내 눈은 얼마나 높을까?' 심리 테스트 등 일부 서비스는 할인을 시작하기도 했다.
스캐터랩은 연애의 과학으로 카톡 대화 약 100억건을 수집했고, 이중 1억건을 추려 이루다 개발에 썼다고 밝힌 바 있다. 회사 측은 지난 15일 이루다의 딥러닝 모델과 1억건 데이터베이스를 파기하겠다고 발표했으나, 100억건의 원본 데이터베이스는 파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연애의 과학 이용자들은 "이루다 DB가 아니라 카톡 데이터 전량을 파기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시즌 왔다"... 515만 골프인 대상, 대대적 할인 공세 나선 유통가
‘포스코·현대제철’, 新 먹거리 후판은 ‘극저온 철강재’
오디오 SNS '클럽하우스', 국내 이용자 20만명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