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유요섭 청년과미래 칼럼니스트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재택근무로 전환하여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처음 시도해 본 재택근무에 직장인들 또한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출퇴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업무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다는 의견도 상당수다. 이러한 이유로 코로나 사태 이후에도 근무환경이 재택근무, 유연근무제 등 다양한 방향으로 빠르게 변화할 것이란 전망도 많다.
특히나 사무직종에 있어 재택근무는 진정한 ‘미래형 근무’라며 노동이 최종적으로 지향해야 할 형태인 것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택근무도 그 단점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첫째, 재택근무는 노동시간의 감소가 아닌 오히려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사무실에 출근할 필요가 없으므로 출퇴근 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반대로 업무시간과 일상의 경계가 흐릿해질 수 있다. 집에서 일하다 보니 업무와 집안일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그러다 밤까지 계속해서 일하는 경우가 꽤 많다. 둘째, 오히려 더 심한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업무시간의 제한이 희미해지고 업무의 양 또는 성과로 판단하게 되면서, 역으로 노동성과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집에서 놀기만 했다’는 말을 듣지 않기 위해선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야 하고 이 때문에 직장에 있을 때보다 도리어 더 많이 일했다는 의견도 많았다.
또한 사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을 사용하며 온라인을 통한 상사의 감시가 더 심해졌다는 사례도 있다. 셋째, 정신적 피로감이 심해질 수 있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 우리의 뇌는 ‘쉬는 공간’과 ‘노동하는 공간’을 구분 짓는다. 쉴 때 작용하는 뇌의 부분과 일할 때 작용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쉬는 공간과 일하는 공간이 합쳐지게 될 경우, 뇌는 혼동을 느끼기 시작한다. 뇌의 혼동은 곧 정신적 피로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워라밸’이란 말이 있듯, 업무와 삶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것은 반대로 업무와 삶은 우선 분리되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러한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재택근무는 너무나 매력적인 근무형태임은 부정할 수 없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가정 또는 출산을 앞두거나·배우자가 출산을 앞둔 직장인들에게 재택근무는 일과 가정의 양립에 최적화된 방법이다. 유·무급휴가와는 별도로, 이처럼 집을 비우기 힘든 사람들에게 재택근무는 앞서 제시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 수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된 이후에도 기존의 근무형태가 다양한 방향으로 돌연 변할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번 사태를 통해, 새로운 노동형태로의 변화를 우리 사회는 분명 체험하고 있다. 장단점이 분명 존재하지만, 이를 계기로 많은 기업들이 재택근무라는 새로운 선택지를 심사숙고하게 될 것은 분명해 보인다. 재택근무의 장단과는 별개로 앞으로의 근무환경은 분명 변해갈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맞추어,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대면 근무와 비대면 근무를 적절하게 혼합하려는 노력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시즌 왔다"... 515만 골프인 대상, 대대적 할인 공세 나선 유통가
‘포스코·현대제철’, 新 먹거리 후판은 ‘극저온 철강재’
오디오 SNS '클럽하우스', 국내 이용자 20만명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