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김지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주가 상승률 최상위권을 제약·의료기기 등 바이오 관련주가 사실상 '싹쓸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학 개미'의 막대한 유동성이 바이오주로 몰리는 가운데 뚜렷한 성과 없이 코로나19 관련 테마주로 부각되며 이상 급등락 등 과열 양상을 보이는 종목도 일부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거래소는 별다른 대응 방법이 없다면서 사실상 손을 놓은 상태다.
2일 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일(1월 20일) 이후 현재(지난달 31일)까지 전체 코스피·코스닥 주가 상승률 1~20위 중 단 2개를 제외한 18개가 모두 바이오 관련 종목으로 집계됐다. 이들 18개 종목의 평균 상승률은 680.50%에 이르렀다.
이중 신풍제약 우선주인 신풍제약우는 코로나19 발생 직전 5950원에서 현재 16만원으로 약 반년 만에 주가가 약 27배로 폭등, 2589.08%의 상승률로 1위에 올랐다.
신풍제약 보통주도 887.12%의 상승률로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신풍제약의 경우 이 기간 거래금액 순위에서도 LG화학, 네이버 등 코로나19 이후 주가가 급등한 대기업들마저 제치고 전체 6위(일평균 2736억원)를 기록했다.
![]() |
▲신풍제약의 말라리아치료제 피라맥스 |
이처럼 바이오주가 무더기로 급등하면서 거래소에 따르면 제약·의료기기 등 건강관리 업종(239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237조7664억원으로 코로나19 국내 발생 직전보다 97조3137억원(69.29%) 불어났다.
이에 따라 전체 증시 시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이 기간 7.96%에서 12.99%로 5%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문제는 급등한 바이오주 중 실적 개선이나 신약 개발 성공 등 뚜렷한 성과 없이 백신·치료제 등 테마성 기대감에만 의지해 주가가 솟아오른 종목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상승률 20위권 내 18개 종목 중 증권사 3곳 이상이 투자의견·목표주가를 제시한 곳은 진단키트 업체 씨젠(상승률 7위)과 백신 전문기업 SK바이오사이언스의 모기업인 SK케미칼 및 SK케미칼우뿐이다.
그 외 15개 종목 중 그나마 증권사 분석 보고서가 1개 이상 있는 곳도 5곳(멕아이씨에스, 휴마시스, 알테오젠, 메드팩토, 엘앤씨바이오)뿐이다. 나머지 10개 종목은 현재 증권사들의 논의 대상에서 제외돼 있는 셈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주가 상승률 1, 3위를 차지한 신풍제약은 과열 논란의 핵심이다.
신풍제약은 상장 제약사 중 작년 매출액(연결기준 1897억원) 순위 20위권의 중견 제약사로 코로나19 발생 직전 시총은 3700억원(이하 보통주 기준) 수준이었다.
하지만 자체 개발한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가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로 거론되면서 주가가 폭등, 현재는 시총 3조6560억원으로 코스피 시총 순위 60위다.
작년 이 회사의 영업이익은 각각 20억원으로 대형 제약사 한미약품 영업이익(1039억원)의 약 52분의 1도 안 되지만, 시총은 한미약품(3조1206억원)을 오히려 5000억원 이상 넘어선 상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여당, 금융권에 "한국판 뉴딜 지원과 스타트업 육성은 금융권의 의무"
갤럭시S21 사전 개통도 ‘비대면’…이색 마케팅 ‘주목’
우려 일축한 인텔 "7㎚ 기술적 결함 해결…2023년 제품 대부분 자체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