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왼쪽부터) KTH, KT엠하우스 CI |
지난 9월에는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커머스 플랫폼인 ‘TV MCN’을 론칭, 클라우드 솔루션을 적용해 업계 최초로 개인 선호채널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등 기술적 차별화를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혁신 노력에 힘입어 주력사업인 K쇼핑 매출은 3년간 연평균성장률 30%를 기록하고, KTH의 지난 3년간 매출과 영업이익 연평균성장률 또한 각각 19%, 37% 상승하는 등 고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TV홈쇼핑 시장이 포화상태에 다다르면서 업체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가운데 TV를 넘어 모바일 커머스 등 적극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모색하게 됐다.
KT엠하우스는 모바일 쿠폰 시장의 초기 사업자로, 차별화된 마케팅 노하우와 IT전문성에 기반한 모바일 쿠폰 ‘기프티쇼’의 판매금액이 올해 5,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모바일 쿠폰 B2B 시장 1위 기업이다.
KT엠하우스는 최근 비대면 트렌드 확산으로 기업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기업 전용 모바일쿠폰 서비스인 ‘기프티쇼 비즈’와 기프티쇼를 받은 사람이 직접 원하는 브랜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원픽(One Pick) 쿠폰’, 통신사 최초의 유료서비스 통합상품인 ‘KT통합상품권’ 출시 등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통하여 지난 3년간 연평균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7%, 21% 증가했다.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쿠폰 사업을 넘어 한정판 스니커즈 리셀(Resell, 재판매) 플랫폼 ‘리플(REPLE)’ 서비스를 출시하며 커머스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런 가운데 새로 탄생하게 될 합병법인은 양사가 보유한 ICT 인프라 및 기술역량, 솔루션 사업을 토대로 유통채널 및 상품 경쟁력을 확대하고 모바일 중심의 신사업 강화 등 차별화된 통합 커머스 전문기업으로 발돋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KTH가 보유한 상품 수급, 마케팅, 배송, 관리 등 유통 인프라와 KT엠하우스가 보유한 3만 기업고객과 9만개의 오프라인 가맹점을 통해 고객가치를 창출해나갈 전망이다.
합병법인은 KT그룹의 강점인 ABC(AI, Big Data, Cloud) 기술을 기반으로 타사 대비 차별화된 커머스 사업 모델을 구축해 커머스 시장 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각오다.
이필재 KTH 대표이사는 “TV쇼핑과 모바일 쿠폰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해온 두 회사는 ICT 기반의 커머스 경쟁력을 다져왔다는 공통분모를 토대로 거대한 디지털 커머스 플랫폼으로 성장해 고객가치를 실천해나갈 것”이라며 “이번 합병으로 디지털 대 전환 시기를 빈틈없이 준비하고 새로운 기회를 찾아 성장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문정용 KT엠하우스 대표이사는 “이번 합병을 계기로 모바일 쿠폰 시장의 선두 사업자에 안주하지 않고, 고객 중심의 신개념 커머스 신사업을 지속적으로 구현해 나가며 커머스 시장의 판을 바꾸는 더 큰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금융 톡톡] 스마트키 차량은 긴급출동서비스 못받는다구요?
'아이오닉5' 유럽에 가장 먼저 출시…현대차, R&D에 3.5조 투자
금융당국 '녹색금융 모범규준' 마련…11년 전 판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