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7회 '세계인터넷대회' 행사장에서 보여진 시진핑 주석의 영상 (사진=연합뉴스/로이터) |
[아시아타임즈=김태훈 기자] 중국의 ‘일대일로’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사업에 참여한 국가들의 재정상황이 악화되며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무디스는 올해 상반기 진행된 일대일로 사업 규모는 235억 달러에 그쳐 지난해 전체 규모인 1047억 달러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고 밝혔다.
하반기 사업이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로 이뤄져도 지난해 대비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업이 지지부진한 이유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건설작업 등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한 영향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사업에 참여하는 국가들의 재정상황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일대일로는 크게 육상과 해상운송 루트로 나뉘며 육상운송에는 중국을 시작으로 중앙아시아와 러시아를 거쳐 유럽에 도달하는 루트, 중동을 거쳐 아프리카에 도달하는 루트가 포함된다. 또한 중국은 중동산 원유를 파키스탄과 미얀마를 통해 들여오는 해상운송 루트도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일대일로에 참여한 국가들 대부분은 ‘경제 체력’이 좋지 못한 국가들로 자원 수출에만 의존하거나 제조업과 서비스업 기반이 약한 상황에서 코로나19 사태를 맞았다. 게다가 의료시설 수준이 높지 않다는 점도 피해가 더 커진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는 파키스탄, 잠비아, 탄자니아, 앙골라 등이 포함되며 사실상 채권국들이 부채 상환을 유예하거나 탕감해줘야 하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중국은 지난 2015년 짐바브웨의 부채를 탕감해 준 바 있지만 현재는 자국 경제 상황도 고려해야 하므로 부채 탕감을 결정하기 쉽지 않다.
최근 선진국 클럽인 G20은 각국 재무장관들이 모인 자리에서 신흥국 신용 리스크를 우려하며 이들에 대한 부채 상환 유예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밖에 무디스는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중국의 친환경 투자를 요구하는 국가들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일대일로의 친환경 사업 비율은 올해 상반기 58%로 지난 2014년 18.5%에서 크게 올랐다.
마이클 테일러 무디스 아시아태평양 선임신용관리자는 “일대일로 참여국들은 자원 혹은 관광업에만 의존하거나 해외로부터 들어오는 송금액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특징을 보이는 탓에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며 “내년에도 신용 부담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소득 보장 없으니…반쪽짜리 코로나 보험
금값된 '밥상 물가'에 설 차례상 부담도 ‘껑충’
코로나發 집콕에…LG전자, 주방 新가전 '3총사' 날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