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김지호 기자] 경북 경주 월성원전 부지가 방사성 물질에 광범위하게 오염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7일 포항MBC는 "한수원 자체 조사 결과 경북 경주 월성원전 부지가 광범위한 방사능 오염에 노출돼 10여 곳 지하수에서 방사능 물질인 삼중수소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삼중수소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오염수에 대량 함유돼 논란을 빚고 있는 방사성 물질로, 인체에서 내부 피폭을 일으켜 유전자 변이를 초래한다고 알려졌다.
 |
▲사진=MBC캡처 |
원전 구조상 방사성 물질은 안전을 위해 완전히 밀폐, 격리돼 지정된 설비를 제외하고는 검출돼서는 안 되는 물질이다.
하지만 조사 결과 인근 지역에서 최대 71만3000베크렐, 관리기준의 18배에 이르는 삼중수소가 검출됐는데 누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이상홍 경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월성원전 부지 바깥까지 오염 지하수가 확산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원전 중심 부지에서 300m 떨어진 북쪽 경계 지역에서도 최고 924베크렐의 삼중수소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월성원전 4기 모두 20년 된 노후 설비로 돼 있어 고농도의 방사성 물질 관리에 특히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또 월성 1호기 핵폐기물 저장 수조에 방사성 물질의 확산을 막아주는 차수막이 8년 전 파손된 채 방치된 것으로 드러나 관리부실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수원은 "삼중수소가 검출된 것은 모두 원전 부지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 유출이라고 할 수 없다"며 "비계획적인 유출도 확인된 것이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청와대 등 정부에 대한 월성원전 조기 폐쇄 검찰 수사 여론을 상쇄하기 위한 일종의 여론전이라는 의혹제기도 나온다. 탈원전 정책과 그 일환으로 실행된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의 주무부서는 산업통상자원부 그리고 실질적으로 정책을 지휘한 곳은 청와대다.
검찰의 칼끝이 청와대를 겨누자 '검찰개혁'을 빌미로 윤석열 총장 찍어내기가 이뤄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에 따라 이번 사안도 정부가 월성원전 조기 폐쇄를 정당화하기 위해 방사능이 유출됐다는 얘기를 흘렸다는 일종의 '음모론'이다.
한 네티즌은 "원전 수사가 본격화되니까 (정부가) 별짓을 다한다. 국민을 불안하게 만들어서 어찌해 보려고"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