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윤진석 기자] 일본 후생노동성 직원 10명 중 4명이 지난 4월 코로나19로 인해 선포됐던 긴급사태 당시에도 자택근무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이 최근 실시한 자체조사에서 지난 4~5월 긴급사태 선포 후 직원 43%는 자택근무를 하지 못했다.
자택근무를 위한 외부시스템으로의 연결 장비의 부족(51%)이 가장 큰 이유였고, 긴급사태 선포에 대한 국회의 대응 가능성 때문(24%)이 뒤를 이었다.
후생노동성은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의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자택근무를 촉진하기 위한 전문가 회의를 진행하고 올해 안으로 기업 가이드 라인을 개정하기로 했던 바 있다.
한편, 지난 4월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는 코로나19 확산이 급증했던 도쿄를 포함한 7개의 도도부현에 1개월간 '긴급사태'를 선포했다.
긴급사태가 선언되면 각 광역단체장은 외출 자제 요청을 할 수 있으며 학교 휴교나 시설 이용 제한 등의 요청이나 지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임시 의료시설을 정비하기 위해 토지나 건물 소유자의 동의 없이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수용과 배송 등을 요청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소득 보장 없으니…반쪽짜리 코로나 보험
금값된 '밥상 물가'에 설 차례상 부담도 ‘껑충’
코로나發 집콕에…LG전자, 주방 新가전 '3총사' 날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