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캄보디아 서부 바탐방주에서 튜브를 타고 차오른 물을 건너는 주민들 (사진=연합뉴스/AFP) |
[아시아타임즈=김태훈 기자] 캄보디아 서민들이 코로나19에 이어 태풍 피해까지 겹치면서 생존 위협을 받고 있다.
15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수많은 주민들이 일자리를 잃은 데다 지난달에는 제18호 태풍 ‘몰라베’의 영향으로 홍수까지 발생하면서 삶의 터전을 잃었다.
이렇게 되면서 서민들은 경제적 여력을 완전히 상실하고 있다. 특히 제1금융권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워 비제도권 금융의 소액대출에 의존한 서민들은 이마저도 갚지 못할 상황에 내몰렸다.
이렇게 소액으로 돈을 빌린 캄보디아 주민 수는 260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캄보디아 인권단체 리카드호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한해 평균 임금은 1700달러인 반면 1인당 부채는 3804달러에 달한다. 자신의 번 임금보다 2배가 넘는 돈을 빌리고 있는 것으로, 집계상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큰 격차다.
문제는 경기 상황이 좋고 일자리가 유지될 때는 돈을 갚을 여력이 있지만 코로나19 사태나 홍수 등으로 돈을 벌 수 없게 되면서 치명적인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 가족들은 자녀들이 태국 등에서 불법 이민노동자로 일하며 돈을 보내준 덕분에 빚을 갚을 수 있었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자녀들도 실업을 당하면서 사실상 없는 살림을 팔아서라도 이자와 부채를 상환해야 한다.
이들 중 하나인 로에른 레스씨는 캄보디아 씨엠립에서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이어가다 최근 상황이 여의치 않아 수도 프놈펜으로 넘어가 건설업 일자리라도 알아보려 했지만 나이가 너무 많다며 취업을 거절당했다.
레스씨는 “처음에는 아들의 결혼식 준비를 위해 3000달러를 빌렸지만 살림이 팍팍해지면서 지금은 7000달러로 불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터지자 아들도 일자리를 잃어 토지를 팔아서라도 빚을 갚아야 할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사태가 악화일로를 걷자 훈 센 캄보디아 총리는 은행을 비롯한 소액대출 금융기관들에게 빚 독촉을 하지 말고 부채 상환을 연기하는 등 서민 부담 줄이기에 힘써달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센 총리는 지난 6월 은행들에게 빚을 갚지 않는 채무자의 자산을 몰수하라고 주장해 이번 발언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비판도 있다.
센 총리는 “어려운 시기인 만큼 부채 상환을 연기하고 이자율을 내려주길 바란다”며 “코로나19 사태와 홍수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자산을 몰수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소득 보장 없으니…반쪽짜리 코로나 보험
금값된 '밥상 물가'에 설 차례상 부담도 ‘껑충’
코로나發 집콕에…LG전자, 주방 新가전 '3총사' 날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