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반정부 시위대가 왕실모독죄 반대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아시아타임즈=김태훈 기자] 태국은 바트화 환율 강세로 인해 수출과 관광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25일(이하 현지시간) 태국 현지매체 방콕포스트 등에 따르면 태국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관광업이 큰 피해를 입고, 군부정권과 왕권체제에 반대하는 반정부 시위가 4개월째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자금이 몰리며 환율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달러화 대비 바트화 환율은 지난 1월 12일 30.24바트에서 4월 1일 33.09바트까지 치솟더니 이달 12일에는 30.23바트까지 다시 내렸다. 태국이 신흥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환율이 상당히 빠르게 회복된 것이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2023년까지 제로수준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신흥국으로 자금이 몰렸으며,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의 당선이 유력해지며 미국 대통령 선거라는 불확실성이 해소됐기 때문이다.
또한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지며 관광업이 회복되면 태국 경제도 빠르게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작용했다. 이를 반영하듯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이달 외국인의 태국 채권 순매수액은 15억 달러로 국채 매수액의 경우 17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그러나 태국 산업계는 이같은 소식이 반갑지 않다. 자동차 등 수출업계는 환율 강세로 인해 수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데다 관광업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더 높은 가격을 주고 바트화를 환전해야 하므로 여행 수요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태국은 ‘아시아의 디트로이트(과거 미국의 제조업 중심지)’라고 불릴 정도로 자동차 제조업 경쟁력이 강해 지난 2018년 기준 100만 대 이상의 자동차를 수출했고, 같은 기간 관광업은 국내총생산(GDP)의 21.6%를 차지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 백신이 나온다고 한들 환율 강세가 태국 산업계의 발목을 잡으며 경기 회복을 더디게 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반정부 시위를 비롯한 정치적 리스크가 남은 상황에서 환율 약세를 유도하는 등 산업계에 힘을 불어넣을 조치가 필요한 것이다.
앞서 태국 국가화주협의회(TNSC)는 달러화 대비 바트화 환율을 34바트 수준까지 올려야 수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잔야파드 탄티피팟퐁 TNSC 회장은 “내년 달러화 대비 바트화 환율은 29.5바트까지 내려갈 수 있으며 만약 이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제품 수출이 대단히 어려워질 것”이라며 “다른 국가들 대비 바트화 강세가 너무 빠르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정세균 총리 “빨리 해결해야”...‘LG-SK 배터리 소송’ 합의 급물살 탈까
현대제철, 지난해 영업익 78% ‘뚝’…“수익성 중심 경영 펼칠 것”
코로나 백신 엉덩이에 맞아도 되나?… 두테르테가 촉발시킨 엉뚱하지만 진지한 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