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백신 대량생산·콜드마스크·진단키트 출시 등 코로나 대응 로드맵 제시
![]() |
▲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39회 JP 모건 컨퍼런스에서 권세창 사장이 한미약품의 2021년 비전과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미약품) |
[아시아타임즈=이지영 기자] 한미약품은 2021년 사업 방향을 제39회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이번 발표에서는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의 구체적 비전 제시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글로벌 전략 로드맵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전략에는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중심으로 DNA 및 전령리보핵산(mRNA) 백신 생산, 진단키트와 치료제 개발 등을 통해 코로나19 대유행 종식에 기여할 수 있다는 비전이 포함됐다. 평택 바이오플랜트는 대장균 발효 정제 의약품 생산 설비를 통해 플라스미드 DNA 백신, mRNA 백신, mRNA 합성에 필요한 효소 생산이 가능한 GMP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또 계열사 한미정밀화학은 뉴클레오타이드와 리피드(mRNA 백신의 제제 원료) 등 다양한 원료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미약품은 백신 뿐 아니라 코로나19의 예방부터 진단, 치료제에 이르는 전 주기 라인업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람다카라기닌 주성분의 '한미 콜드마스크 비강스프레이'를 출시했다. 코로나19와 독감을 동시 진단할 수 있는 키트의 발매도 준비하고 있다. 또한 'PIKfyve' 억제제 신약합성화학물(NCEs)과 티모신(Thymosin α1) 호르몬을 이용한 코로나19 치료제의 전임상 후보물질도 도출했다.
권세창 사장은 "한미약품은 mRNA백신과 DNA백신 위수탁생산(CMO·CDMO)이 가능한 시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역량을 갖췄다"며 "글로벌 팬데믹 위기 극복에 기여하기 위해 여러 회사와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한미약품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력 제품 매출 상승을 일군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강조했다. 한미약품의 580명 이상 전문 R&D 인력은 대사성질환 8개, 항암 12개, 희귀질환 5개, 기타 질환 3개 등 총 28개의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한미약품이 개발한 두 개의 신약은 올해 미국 FDA의 시판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스펙트럼에 라이선스 아웃된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와, 아테넥스에 라이선스 아웃된 전이성유방암 치료제 '오락솔'은 각각 FDA의 시판허가(BLA)와 우선심사(Priority Review)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택배사 분류작업 발빼기⋯’CJ대한통운대리점 “할 만큼 했다. 3000여명 해산 결정”(종합)
포스코인터내셔널, 지난해 영업익 21.6%↓…순이익은 13.4%↑
"농활 말고 농할"...‘1석2조’ 노리는 대형마트